테게바자로 미야자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게바자로 미야자키는 1965년 '가도카와 클럽'으로 창단된 일본의 축구 클럽이다. 2020 시즌 J3리그에서 2위를 차지하여 J3리그로 승격했으며, 2023년 J2 라이선스를 취득했다. 2021년부터 J3리그에 참가하고 있으며, 2024년에는 J3리그 잔류를 확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야자키현의 축구단 - 베로스크로노스 쓰노
베로스크로노스 쓰노는 2014년 미야자키현에서 창단되어 규슈 리그에서 여러 번 우승했으며, 쓰노정을 연고지로 U-18 등의 하부 조직을 운영한다. - 미야자키현의 축구단 - FC 노베오카 아가타
FC 노베오카 아가타는 미야자키현 노베오카시를 연고로 2019년 창단하여 규슈 축구 리그에서 활동하며 J리그 진입을 목표로 하는 클럽으로, 노베오카성의 옛 지명에서 유래한 이름과 엠블럼을 가지고 지역 기반을 강화하고 있다. - J3리그 구단 - FC 류큐
FC 류큐는 2003년 창단되어 오키나와현을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으로, 오키나와 최초의 J리그 참가 클럽을 목표로 J3리그 우승 후 J2리그에 승격했으나 강등되었으며, 벵갈라 색상을 팀 컬러로 사용하고 오키나와현 종합운동공원 육상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한다. - J3리그 구단 - FC 오사카
FC 오사카는 1996년 창단되어 오사카부 사회인 축구 리그부터 JFL을 거쳐 2022년 J3리그에 승격한, 독립적인 재정 운영과 지역 사회 공헌, 유소년 육성에 힘쓰는 히가시오사카시 연고의 축구 클럽이다. - 1965년 설립된 축구단 - 블라우블리츠 아키타
블라우블리츠 아키타는 TDK 축구부로 시작하여 도호쿠 지역 리그에서 강세를 보이다 2010년 독립 후 2014년 J3리그에 데뷔, 두 번의 우승 끝에 34년 만에 J2리그로 승격한 아키타현의 프로 축구팀이다. - 1965년 설립된 축구단 - 알나스르 SC (쿠웨이트)
알나스르 SC는 쿠웨이트의 축구 클럽으로, 쿠웨이트 1부 리그에서 3회 우승, 쿠웨이트 페더레이션컵에서 1회 우승했으며, AFC컵과 GCC 챔피언스리그에도 참가한 기록이 있다.
테게바자로 미야자키 | |
---|---|
기본 정보 | |
클럽 운영 정보 | |
영문 법인명 | |
리그 정보 | |
유니폼 | |
![]() | |
![]() | |
![]() | |
![]() | |
![]() |
2. 역사
테게바자로 미야자키는 1965년 '가도카와 클럽'으로 창단되어 2004년 '안디아모 가도카와 1965', 2007년 'MSU (미야자키 스포츠맨 유나이티드) FC'로 두 차례 이름을 바꾸었다.[1][2] 2015년 1월 현재 이름인 '테게바자로'로 변경되었는데, 이는 미야자키 방언으로 "굉장하다"는 뜻의 '테게'와 vacaes(pájaroes)를 합쳐 만든 것이다.[3][4]
J리그 진출을 목표로 2017 시즌 J3리그 진출을 꾀했으나, 일본 축구 리그에 먼저 진출하는 것으로 변경하였다. 2017년 이시자키 노부히로 감독이 부임하고, 모리시마 야스히토, 타카치 케이지 등 전 J1리그 선수들이 합류했다.[5]
2020 시즌 JFL에서 2위를 차지하며 2021 시즌 J3리그로 승격했다.[6] 2023년 10월 24일 J2 라이선스를 취득했다.[6]
시즌 | 디비전 | 티어 | 팀 수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평균 관중 | |||
---|---|---|---|---|---|---|---|---|---|---|---|---|---|---|---|---|
2014년 | 규슈 축구 리그 | 5 | 10 | 7위 | 18 | 3 | 0 | 10 | 23 | 54 | -31 | 17 | ||||
테게바자로 미야자키 | ||||||||||||||||
2015년 | 규슈 축구 리그 | 5 | 10 | 2위 | 18 | 11 | 0 | 3 | 47 | 13 | 34 | 41 | ||||
2016년 | 10 | 2위 | 9 | 7 | 0 | 1 | 26 | 5 | 21 | 22 | ||||||
2017년 | 11 | 1위 | 20 | 18 | 0 | 1 | 70 | 12 | 58 | 56 | ||||||
2018년 | 일본 축구 리그 | 4 | 16 | 12위 | 30 | 9 | 5 | 16 | 43 | 60 | -17 | 32 | 404 | |||
2019년 | 5위 | 30 | 11 | 8 | 11 | 37 | 34 | -3 | 41 | 908 | ||||||
2020년 | 2위 | 15 | 8 | 4 | 3 | 26 | 15 | 11 | 28 | 671 | ||||||
2021년 | J3 | 3 | 15 | 3위 | 28 | 16 | 5 | 7 | 44 | 31 | 13 | 53 | 1,124 | |||
2022년 | 18 | 9위 | 34 | 12 | 10 | 12 | 45 | 47 | -2 | 46 | 1,268 | |||||
2023년 | 20 | 19위 | 38 | 9 | 12 | 17 | 31 | 52 | -21 | 39 | 1,552 | |||||
2024년 | 20 | 미정 | 38 |
2. 1. 창단 초기 (1965년 ~ 2014년)
1965년 '가도카와 클럽(門川クラブ)'으로 창단되었다.[11] 2004년 '안디아모 가도카와 1965(Andiamo門川1965)'로 팀명을 변경하였고,[12] 2007년에는 'MSU FC'(Miyazaki Sportsman United, 미야자키 스포츠맨 유나이티드)로 다시 팀명을 변경하였다.[12][13] MSU는 미야자키 산업경영대학(宮崎産業経営大学)의 영어 약칭(Miyazaki Sangyo-keiei University)으로도 사용된다.2003년 미야자키 현 축구 리그(宮崎県サッカーリーグ)로 승격하였다. 2005년부터 미야자키 산업경영대학 축구부(宮崎産業経営大学サッカー部) OB들이 입단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당시 야나기다 카즈히로(柳田和洋)가 이 대학 축구부 코치를 맡고 있었기 때문이다.[12]
MSU FC로 개칭한 2007년부터는 미야자키 산업경영대학 축구부와 협력 관계를 맺고, 사실상 세컨드 팀 역할을 하게 되었다.[12] 후에 마토(笛真人)가 특별 고문에 취임하였다.[12]
2008년 미야자키 현 리그 1부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고, 2009년 같은 리그에서 2년 연속 우승을 달성했다. 규슈 각 현 리그 결승 대회(九州各県リーグ決勝大会)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며, 2010년 규슈 축구 리그(九州サッカーリーグ)로 승격했다.[18][19]
하지만 2009년 시즌을 마지막으로 해산한 에스트렐라 미야자키 FC(구 프로페서 미야자키 FC→산 미야자키 FC)의 리그 참가 권리가 미야자키 산업경영대학에 이어지면서, 미야자키 산업경영대학의 세컨드 팀 역할은 미야자키 산업경영대학 FC로 이전되었다. 이로 인해 미야자키 산업경영대학과의 제휴가 끊기면서 규슈 리그에서의 성적은 저조했다.[20]
2012년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나카쓰 클럽에 패배하여 미야자키 현 리그 1부로 강등되었다. 2013년 규슈 각 현 리그 결승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며, 2014년 규슈 리그로 재승격했다.[11]
2. 2. 규슈 리그 시절 (2015년 ~ 2017년)
2015년, 팀명을 '테게바자로 미야자키'로 변경했다.[11][14] '테게바자로'는 미야자키 방언으로 "매우"를 뜻하는 '테게(てげ)'와 스페인어로 소를 의미하는 'vacaes', 새를 의미하는 'pájaroes'를 합쳐 만든 것이다.[9][11] 같은 해 3월, 구단 운영 법인인 '주식회사 테게바자로 미야자키'가 설립되었다.[21]2017년에는 삿포로 등에서 감독을 역임한 이시자키 노부히로가 감독으로 취임했다.[22] 전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모리시마 야스히토와 전 FC 기후 선수 타카치 케이지가 팀에 합류했다.[5] 그해 규슈 리그에서 18승 1무 1패로 우승했고, 2017 전국 지역 축구 챔피언스리그에서는 준우승을 기록하며 일본 풋볼 리그(JFL)로 승격했다.[22] 같은 해 모리시마 야스히토와 타카치 케이지는 계약 만료로 팀을 떠났다.
2. 3. JFL 시절 (2018년 ~ 2020년)
2018년에는 이시자키 노부히로 감독이 사임하고, 헤드 코치였던 쿠라이시 케이지가 감독으로 취임하였다. 리그에서는 16팀 중 12위를 기록하였다.2019년에는 J리그 100년 구상 클럽으로 인증받았다. 고바야시 미노루가 회장으로, 니무라 케이타가 사장으로 취임하였다. 리그에서는 5위를 기록하였으나, J3리그 라이선스 신청은 철회하였다.
2020년에는 J3리그 라이선스를 취득하였다. 리그에서 2위를 기록하며,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2021 시즌 J3리그 승격이 확정되었다.
시즌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평균 관중 |
---|---|---|---|---|---|---|---|---|---|---|
2018년 | 12위 | 30 | 9 | 5 | 16 | 43 | 60 | -17 | 32 | 404 |
2019년 | 5위 | 30 | 11 | 8 | 11 | 37 | 34 | -3 | 41 | 908 |
2020년 | 2위 | 15 | 8 | 4 | 3 | 26 | 15 | 11 | 28 | 671 |
2. 4. J3리그 시절 (2021년 ~ 현재)
2020 시즌 JFL에서 2위를 기록하며, 2021 시즌 J3리그로 승격하였다.[6]리그 | J리그 컵 | 천황배 전일본 선수권대회 | 사회인 컵 | |||||||||||
---|---|---|---|---|---|---|---|---|---|---|---|---|---|---|
시즌 | 디비전 | 티어 | 팀 수 | 순위 | 경기 | 승 (PK) | 무 | 패 (PK)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평균 관중 | |
2021년 | J3 | 3 | 15 | 3위 | 28 | 16 | 5 | 7 | 44 | 31 | 13 | 53 | 1,124 | 예선 탈락 |
2022년 | 18 | 9위 | 34 | 12 | 10 | 12 | 45 | 47 | -2 | 46 | 1,268 | |||
2023년 | 20 | 19위 | 38 | 9 | 12 | 17 | 31 | 52 | -21 | 39 | 1,552 | 2라운드 | ||
2024년 | 20 | 미정 | 38 | 1라운드 | 미정 |
2020 시즌까지 미야자키시 이쿠모노모리 운동공원 육상경기장 등 미야자키현 내 육상경기장 겸 구기장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했다.[31] 2021 시즌부터 이치고 미야자키 신토미 축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31]
2023년 10월 24일, 테게바자로 미야자키는 클럽 라이선싱 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J2 라이선스를 공식적으로 취득했다고 발표했다.[6]
3. 경기장
이치고 미야자키 신토미 축구장은 개장 당시 조명 시설이 설치되어 있지 않았으나, 2023년 3월에 조명 시설이 완공되어 6월 17일부터 본격적으로 가동되었다.
3. 1. 훈련 시설
테게바자로 미야자키는 특정 훈련 시설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미야자키현 내 다목적 광장 및 구기장을 순회하며 훈련을 진행한다. 훈련 장소는 다음과 같다.
시설 종류 | 시설명 | 위치 |
---|---|---|
다목적 광장 | 미야자키시 키요타케 종합운동공원 다목적 광장 | 미야자키시 기요타케정 |
다목적 광장 | 국제해변 엔트런스 플라자 다목적 광장 | 미야자키시 |
보조 구기장 | 히나타 미야자키현 종합운동공원 보조 구기장 | 미야자키시 |
제2 운동장 | 미야자키닛타이 고등학교 제2 운동장 | 미야자키시 |
공원 | 카노 공원 | 미야자키시 |
공원 | 난부 묘지 공원 | 미야자키시 |
해변 공원 | 토미다하마 해변 공원 | 니이후미정 |
커뮤니티 광장 | 미나시로 커뮤니티 광장 | 니이후미정 |
강변 공원 | 오후지 강변 공원 | 니나미시 |
공원 | 아야 오다즈메 공원 | 아야정 |
다목적 광장 | 시미즈다이 운동공원 다목적 광장 | 니시토시 |
2023년 12월, 선수들의 편의를 위해 훈련 장소를 고정하고, 웨이트 트레이닝 시설과 식사 시설을 미야코 교통 시티 건물 내에 설치하며, 장기적으로 기숙사 건립을 희망한다는 발표가 있었다.[41] 2024년 1월, 클럽하우스 정비를 최우선으로 하고, 미야코 교통 시티 내 직원 식당과 온천 시설을 활용할 것이라는 방침이 발표되었다.[42]
2024년 10월 3일, 미야코 교통 시티 3층에 클럽하우스가 개설되었다.[43][44]
4. 선수단
테게바자로 미야자키의 선수단은 현재 선수 명단, 임대 중인 선수, 역대 선수로 구성되어 있다.[7][8]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8월 2일 기준 선수 명단이다.
'''임대 중인 선수'''
'''역대 선수'''
- 모리시마 야스히토[7]
- 다카치 케이지[7]
- 쿠도 쇼타[7]
- 아베 료타 (U-12 출신, 당시: MSU FC, 현재: FC이마바리 소속)
- 신죠 하루키 (U-12, U-15, U-18 출신(U-18·1기생), 현재: 톱팀 소속(FC카리야로 육성형 임대 이적 중))
4.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2024년 8월 2일 기준 DSP 선수 포함.[7][8]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2 | DF | 아오야마 이키루 | 일본 |
4 | DF | 오부 슌 | 일본 |
5 | MF | 사카이 슌야 | 일본 |
6 | MF | 오쿠마 켄타 | 일본 |
7 | MF | 우오자토 나오야 | 일본 |
8 | MF | 리키야스 쇼고 | 일본 |
11 | FW | 하시모토 케이고 | 일본 |
13 | FW | 키타무라 토모야 | 일본 |
15 | DF | 츠지오카 유마 | 일본 |
16 | DF | 요시다 토모야스 | 일본 |
18 | FW | 요시자와 슈 | 일본 |
19 | MF | 타카세 우쿄 | 일본 |
20 | MF | 아노 마히로 | 일본 |
21 | GK | 시미즈 라이 | 일본 |
22 | MF | 타나카 줌페이 | 일본 |
23 | MF | 오부치 라이주 | 일본 |
24 | DF | 마츠모토 유마 | 일본 |
26 | MF | 후지와라 시류 | 일본 |
27 | FW | 와타나베 세라 | 일본 |
28 | DF | 마나베 히카루 | 일본 |
29 | DF | 후지모토 케이시 | 일본 |
33 | DF | 쿠로키 켄고 | 일본 |
34 | MF | 엔도 히카루 | 일본 |
35 | DF | 에가와 겐키 | 일본 |
36 | DF | 요시나가 쇼이 | 일본 |
37 | DF | 오쿠다 히로키 | 일본 |
38 | MF | 쿠스노키 다이키 | 일본 |
40 | GK | 나라하시 타쿠마 | 일본 |
41 | FW | 우에노 요스케 | 일본 |
42 | MF | 에이나가 타카토라 | 일본 |
44 | MF | 이노우에 렌 | 일본 |
45 | DF | 타나카 세이타로 DSP | 일본 |
47 | DF | 하야시 켄고 | 일본 |
50 | MF | 야스다 코지로 | 일본 |
55 | GK | 아오키 코코로 | 일본 |
57 | GK | 우에다 슌스케 | 일본 |
58 | FW | 타케 하야테 | 일본 |
FW | 타카오카 렌토 DSP | 일본 |
4. 2. 임대 중인 선수
wikitext
4. 3. 역대 선수
다음은 테게바자로 미야자키의 역대 선수 명단이다.- 모리시마 야스히토[7]
- 다카치 케이지[7]
- 쿠도 쇼타[7]
- 아베 료타 U-12 출신(당시: MSU FC)
- * 현재: FC이마바리 소속
- 신죠 하루키 U-12, U-15, U-18 출신(U-18·1기생)
- * 현재: 톱팀 소속(FC카리야로 육성형 임대 이적 중)
2024년 8월 2일 기준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7][8]
등번호 | 포지션 | 이름 | 비고 |
---|---|---|---|
2 | DF | 아오야마 이키루 | |
4 | DF | 오부 슌 | 부주장 |
5 | MF | 사카이 슌야 | 사간 도스에서 임대 |
6 | MF | 오쿠마 켄타 | 부주장 |
7 | MF | 우오자토 나오야 | |
8 | MF | 리키야스 쇼고 | |
11 | FW | 하시모토 케이고 | |
13 | FW | 키타무라 토모야 | |
15 | DF | 츠지오카 유마 | 이와키 FC에서 임대 |
16 | DF | 요시다 토모야스 | |
18 | FW | 요시자와 슈 | |
19 | MF | 타카세 우쿄 | |
20 | MF | 아노 마히로 | 도쿄 버디에서 임대 |
21 | GK | 시미즈 라이 | |
22 | MF | 타나카 줌페이 | |
23 | MF | 오부치 라이주 | V-바렌 나가사키에서 임대 |
24 | DF | 마츠모토 유마 | FC 이마바리에서 임대 |
26 | MF | 후지와라 시류 | 도쿠시마 워티스에서 임대 |
27 | FW | 와타나베 세라 | |
28 | DF | 마나베 히카루 | 주장 |
29 | DF | 후지모토 케이시 | |
33 | DF | 쿠로키 켄고 | |
34 | MF | 엔도 히카루 | 벤트포레트 고후에서 임대 |
35 | DF | 에가와 겐키 | FC 오사카에서 임대 |
36 | DF | 요시나가 쇼이 | |
37 | DF | 오쿠다 히로키 | |
38 | MF | 쿠스노키 다이키 | 도쿄 버디에서 임대 |
40 | GK | 나라하시 타쿠마 | |
41 | FW | 우에노 요스케 | |
42 | MF | 에이나가 타카토라 | 가와사키 프론탈레에서 임대 |
44 | MF | 이노우에 렌 | 미토 홀리혹에서 임대 |
45 | DF | 타나카 세이타로 | 특별 지정 선수 |
47 | DF | 하야시 켄고 | 요코하마 FC에서 임대 |
50 | MF | 야스다 코지로 | FC 도쿄에서 임대 |
55 | GK | 아오키 코코로 | 부주장 |
57 | GK | 우에다 슌스케 | |
58 | FW | 타케 하야테 | FC 오사카에서 임대 |
FW | 타카오카 렌토 | 특별 지정 선수 |
5. 코칭 스태프
직책 | 코칭 스태프 |
---|---|
매니저 | 오쿠마 유지|오쿠마 유지일본어 |
수석 코치 | 타케하나 토모야|다케하나 도모야일본어 |
1군 코치 | 메타 켄이치로|메타 겐이치로일본어 |
골키퍼 코치 | 카몬 다이스케|가몬 다이스케일본어 |
피지컬 코치 | 후지노 히데아키|후지노 히데아키일본어 |
수석 트레이너 | 사카키야마 노부오|사카키야마 노부오일본어 |
트레이너 | 시게히사 하야토|시게히사 하야토일본어 |
물리치료사 | 스가와라 코지|스가와라 고지일본어 |
사이드 매니저 | 하바 유타|하바 유타일본어 |
6. 역대 감독
감독 | 국적 | 재임 기간(시작) | 재임 기간(종료) |
---|---|---|---|
이시자키 노부히로 | 2017년 2월 1일 | 2018년 6월 21일 | |
쿠라이시 케이지 | 2018년 6월 22일 | 2021년 1월 31일 | |
나이토 나루유키 | 2021년 2월 1일 | 2022년 1월 31일 | |
타카사키 야스시 | 2022년 2월 1일 | 2023년 1월 31일 | |
마쓰다 히로시 | 2023년 2월 1일 | 2023년 9월 26일 | |
가토 미쓰오 | 2023년 9월 27일 | 2023년 12월 5일 | |
오쿠마 유지 | 2023년 12월 19일 | 현재 |
7. 수상
테게바자로 미야자키는 규슈 축구 리그에서 1회 우승하였다.[1]
수상 내역 | 횟수 | 연도 |
---|---|---|
미야자키현 3부 리그 | 1 | 2004 |
미야자키현 1부 리그 | 3 | 2008, 2009, 2013 |
규슈 축구 리그 | 1 | 2017 |
자세한 연도별 성적은 테게바자로 미야자키의 연도별 성적 일람에서 확인할 수 있다.